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스토킹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(2)
    법률정보 2024. 2. 16. 15:09

     

     

    1. 층간소음으로 인한 보복 행위는 '스토킹 범죄'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스토킹 범죄의 성립과 처벌은 교제폭력과 같은 이성 간의 범죄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. 이웃 간의 층간소음 분쟁이나 채권자와 채무자 간의 분쟁에서도 스토킹 범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특히 층간소음 분쟁에서, '반복적이고 고의적인 소음 발생 행위'는 스토킹 범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최근 대법원 판례(대법원 2023. 12. 14. 선고 202310313 판결)에 따르면, 피고인이 여러 달 동안 층간소음에 불만을 표시하며 늦은 밤부터 새벽까지 반복적으로 벽을 치거나 음향기기를 작동시켜 이웃에게 큰 소리를 발생시킨 행위는 스토킹 범죄로 인정됩니다.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피해자와 주변 이웃들에게 불안감이나 공포를 유발하는 충분한 정도임을 인정하였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대법원 판결 일부 소개 (대법원 2023. 12. 14. 선고 202310313 판결)

     

     

    . 스토킹 행위에 관한 법리

     

     

    스토킹 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킹 범죄는 행위자가 피해자의 자유로운 의사결정 및 생활형성의 자유를 침해하여 불안감이나 공포를 일으키는 행위입니다. 따라서 스토킹 행위가 피해자에게 충분한 정도의 불안감이나 공포를 유발할 수 있는 경우, 스토킹 범죄로 간주됩니다. 또한, 이러한 행위가 지속되거나 반복되면 스토킹 범죄로 인정됩니다. 이에 대한 판단은 행위자와 피해자의 관계, 행위의 성격, 행위자의 의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. 스토킹 행위의 성립 여부

     

     

    이웃 간의 층간소음 분쟁과 관련하여 위와 같은 행위가 발생하더라도 즉시 스토킹 행위로 간주되는 것은 아닙니다. 그러나 이러한 행위가 피해자에게 충분한 불안감이나 공포를 유발한다면 스토킹 행위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. 위 판결에 따르면, 피고인이 지속적으로 이웃에게 큰 소리를 발생시키고, 이를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이웃을 괴롭히려 한 행위는 스토킹 범죄로 간주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이웃 간의 분쟁에서도 스토킹 행위로 인정될 수 있는 행동에 주의해야 합니다. 스토킹 범죄는 형사 처벌 뿐만 아니라 공무원 자격의 결격 사유가 될 수 있으므로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